2002년 국제요실금학회는 요절박(소변을 참지 못하는 것)을 핵심 증상으로 절박요실금(소변을 참지 못해 속옷에 소변을 싸는 현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보통 주간 빈뇨와 야간 빈뇨가 동반되고 이러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요로감염이나 명확한 병변이 없을 경우로 정의합니다.
여성의 40~70%가 과민성 방광이 있을 정도로 흔한 질환이며, 너무나 불편한 증상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위생상으로 삶의 질을 급격히 떨어뜨리는 질환입니다.
또한, 드러내지 못하고, 쉬쉬하며 숨기기 때문에 많은 여성이 남모르는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소문난비뇨의학과는 오로지 여성만을 위한 편안한 대기공간과 진료실을 마련하였고 전문적인 진료를 받으실 수 있는 장비와 시설을 갖추었습니다.
치료방법에 있어서도 기존의 단순한 약물치료 뿐 아니라 근본적으로 배뇨습관을 바꾸고 과민성 방광을 완치하기 위한 다양한 행동치료들을 도입하였고 시술이나 수술을
통한 적극적인 치료방법도 시행하고 있습니다.
약물요법 | 행동요법 | 수술적요법 |
약물치료는 항무스카린제가 대표적이며, 방광 평활근 수축을 억제함으로써 소변을 더 오래 저장할 수 있게 하여 소변보는 횟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 환자 교육, 수분조절, 방광훈련, 골반근육운동, 전기자극치료, 바이오피드백 등을 약물치료와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방광팽창술, 천수신경조절술, 내시경을 이용한 방광 내 보톡스 주사 등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
약물 복용 시 입마름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나 최근 방광근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부작용을 현저히 줄인 약물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
※ 치료 효과는 3개월 정도의 꾸준한 약물치료와 행동요법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