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 혈뇨


혈뇨란 소변에 비정상적인 양의 적혈구가 섞여 나오는 것을 의미합니다.

전 인구의 10%에서 발견 될 정도로 아주 흔한 질환이며, 특히 최근 건강검진이 늘어나면서 점점 더 많은 분들에서 혈뇨가 발견되고 있습니다.

■ 혈뇨의 분류

현미경적 혈뇨

육안적 혈뇨

직접 눈에 보이는 소변 색은 정상적이나 현미경으로 확인 시 적혈구가 나오는 경우

직접 눈으로 봐서도 소변에 피가 섞인 것이 확인되는 정도의 혈뇨

■ 혈뇨의 원인

 사구체 이상으로 인한 혈뇨의 원인


① Ig A 신염
② 사구체신염
③ 가족적 신장염
④ 루푸스
⑤ 감염 후 신염
⑥ 기타

 사구체 이상이 아닌 혈뇨의 원인


① 요로결석
② 방광암, 요관암, 신장암, 전립선암 등
③ 신낭종
④ 신동정맥 기형
⑤ 신동맥 혈전, 신정맥 혈전
⑥ 혈우병
⑦ 선천성 요로기형
⑧ 손상 (교통사고나 충격으로 방광, 요관, 신장 등이 다친 경우)
⑨ 심한 운동을 한 후
⑩ 원인 불명

■ 혈뇨의 검사

01. 초음파 검사


혈뇨가 있는 경우 우선 통증도 없고 쉽게 검사할 수 있는 초음파 검사부터 시행하게 됩니다

신장이나 방광의 종괴나 요로 폐쇄가 의심되는 경우, 전립선대증이나 전립선암과 같은 전립선 질환의 감별이 필요한 경우, 

고환염 및 고환염전, 음경 및 음낭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혈뇨의 원인을 찾게 됩니다.

02. 배설성 요로 조영술


환자에게 조영제를 주사한 후 조영제가 신장, 요관, 방광으로 배설되는 모습을 방사선으로 촬영하는 방법으로 

신장의 기능과 요로의 형상을 동시에 알 수 있어 비뇨기과 영역에서 널리 이용되는 진단방사선학적 검사입니다.
혈뇨의 원인을 찾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요로결석이나 암을 확인하는데 유용합니다.


03. 방광경 검사 및 세포 조직검사


방광경이라는 내시경을 이용하여 요도를 통해 방광과 요관구를 보고 혈뇨의 원인을 찾는 검사입니다.
방광의 이상은 눈으로 확인이 가능하고 신장이나 요관의 출혈은 좌우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세포조직검사를 동시에 시행하며 육안으로 보이는 이상 소견이 있으면 조직검사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신장이나 요관의 이상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역행성 요로 조영술도 같이 하게 됩니다.


04. 컴퓨터 단층촬영


여러 각도에서 엑스레이 촬영을 한 후 컴퓨터로 분석하여 입체영상을 얻는 검사법입니다.
엑스레이와 음영이 동일하여 판독하기가 쉽고 모양이 정확히 확인 되므로 구조적이상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암환자에서 특히 유용하며 신낭종, 신외상등에도 많이 이용됩니다.


05. 자기 공명 영상술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자기공명영상술(MRI)은 자기장과 고주파, 컴퓨터를 종합하여 개발한 새로운 영상방법으로 조직의 자기성의 차이를 이용하여 더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CT에 비해 방사선 피해가 없고, 옥소성분 의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연부조직의 해상능력이 뛰어나고 혈류의 정도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어

최근 비뇨기과 질환에 대한 우수한 진단영상법의 하나로 자리 잡아가고있습니다.



06. 신동맥 조영술 (Renal angiography)


신동맥조영술은 혈관에 관을 직접 집어넣고 조영제를 주사하여 혈관의 모양을 확인하는 검사로 

신혈관성 고혈압, 신동정맥루, 동맥류(aneurysm), 결절성 다발성 동맥염 (polyarteritis nodosa)등 신혈관의 이상이나 기형을 발견하는데 중요한 검사법입니다.
신장혈관의 이상으로 반복적으로 혈뇨가 나오는 상황이 의심되면 이 검사를 시행하게 됩니다.



mobile backgr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