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음경만곡증


음경이 전후좌우 방향과 관계없이 휘어 있는 경우를 말하는데 발기 시에 표시가 나며 평상시에는 잘 드러나지 않습니다. 

아래쪽으로 휜 경우가 가장 많으며 좌우로 휘는 경우도 많은데 우측 보다 좌측으로 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음경만곡증 종류

  선천적 음경 만곡증

선천적 음경 만곡증은 좌우측 해면체 발달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며 발기 시에는 뚜렷하게 표시가 나지만 평상시에는 거의 표시가 나지 않습니다. 약 75%는 아래쪽으로 20%정도는 좌우로 휘어집니다. 대부분 수술로 치료하며 해면체를 둘러싸고 있는 백막의 일부를 절제한 후 재봉합하는 방법으로 휘는 방향의 반대편 백막을 절제하면 됩니다.


  후천적 음경 만곡증

후천적 음경 만곡증을 주로 페이로니씨 병(peyronie's disease)으로 부르며 음경발기조직을 감싸고 있는 백막에 딱딱한 결절(plaque)이 만져져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입니다. 

주로 중년 남성에서 흔하고 음경의 중간에 위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때로는 음경의 여러 부위에 동시에 다발적으로 발생하기도 합니다.

■ 음경만곡증 원인

선천적 원인

성기 주위에 힘줄이 있어 성기가 정상적으로 발기되는 것을 방해하는 경우

사춘기 때 음경이 발달하면서 좌·우측 해면체 발달의 불균형이 발생한 경우

후천적 원인

과격한 성관계나 자위, 사고 등에 의해 해면체 백막이 손상된 경우

음경조직이 섬유화되는 페이로니병(Peyronies disease)이 발생한 경우

■ 음경만곡증 진단

  가족력 : 아버지가 이 병에 걸린 경우 자식이 걸릴 확률이 높은 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엑스레이 : 병이 진행되어 프라그가 석회화가 된 경우 확인이 가능합니다.


  초음파 : 결절의 위치와 크기를 확인하고 수술시 수술부위와 방법을 결정할 때 쓰입니다.

  발기검사 : 발기를 유도하여 휘는 정도를 측정합니다.

■ 음경만곡증 치료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아도 50% 정도는 자연적으로 치유됩니다. 가벼운 증세에는 스테로이드, 비타민 E 정제 등의 약물 투여나 주사제 치료를 합니다. 그러나 질 내 삽입이 힘들거나 불가능한 경우, 외관상 어색함으로 인한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심한 경우에는 교정 수술이 필요합니다.

백막봉합법

조직이식법

음경 만곡도가 30도 이하인 경우

주로 음경의 만곡도가 30~60도이거나
백막 봉합법으로 효과가 없는 경우



mobile background